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사고차량이 견인되는 모습

     

    🚗 사고 현장에서 부르지 않은 견인차 대처법

     
    교통사고는 갑작스럽게 일어나고, 그 순간 경황이 없어 잘못된 선택을 하기 쉽습니다.
    특히 내가 요청하지 않았는데도 불쑥 등장하는 사설 견인차는 더욱 혼란을 줍니다.
    이럴 때 올바르게 대응하지 않으면 과도한 요금 청구나 불필요한 분쟁에 휘말릴 수 있죠.
    아래에서는 부르지 않은 견인차가 왔을 때 운전자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1️⃣ 단호하게 거절하기

     
    사고가 난 직후에는 정신이 없지만, 부르지 않은 견인차가 와도 무작정 동의하지 마세요.
    2차 사고 위험이 크지 않다면 “보험 견인만 이용하겠습니다”라고 분명히 거절하는 것이 첫 단계입니다.
    얼떨결에 차량을 맡기면 이후 과도한 비용을 청구받을 수 있습니다.
     
     

     
     

    2️⃣ 법적 근거로 방어하기

     
    현행법상 견인차 사업자는 차량 운송 전 반드시 두 가지를 지켜야 합니다.

    1. 최종 목적지까지의 총 운임·요금을 사전에 고지
    2. 차주의 ‘구난동의서’ 서명 확보

    이 절차 없이 차량을 강제로 이동시키면 행정처분(운행정지 10일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치 않을 때는 “요금 고지와 구난동의서 없이는 이동 불가합니다”라고 대응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사고현장을 보험사 직원이 살펴보는 모습

     
     
     

    3️⃣ 국토부 요금 상한선 확인하기 💸

     
    차량 견인 비용은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야 하며,
    일반 승용차의 경우 10km까지 약 7만2천 원, 20km까지는 약 9만5천 원 수준입니다.
    사설 견인차가 이보다 과도한 요금을 요구하면 고시 요금 범위를 근거로 거절하세
    요. 견인 전 반드시 요금·거리·목적지를 확인하고, 영수증을 받아 두는 것도 중요합니다.
     

    🚗 피견인차 차량중량(공차상태)별 견인 요금 상한선

                                                                                                                                                     (단위: 원, 국토교통부 고시 기준)

    거리 2.5톤 미만 2.5톤 이상 ~ 4톤 미만 4톤 이상 ~ 8톤 미만 8톤 이상 ~ 12톤 미만 12톤 이상
    10km 까지 72,200 100,300 128,000 154,400 174,500
    15km 까지 84,000 117,000 154,600 188,300 216,200
    20km 까지 95,600 133,800 171,300 209,600 242,500
    25km 까지 107,400 150,500 191,500 235,300 274,100
    30km 까지 119,100 167,200 211,600 261,000 305,700

     
     
    📌 알아두면 좋은 포인트

    • 기준은 공차 상태(적재물 없음)입니다.
    • 거리가 늘어날수록 구간별로 일정 금액이 추가됩니다.
    • 야간, 휴일, 산악 등 특수 조건에는 할증 요금이 붙을 수 있습니다.
    • 실제 청구 금액은 반드시 고시 기준 내에서만 가능하며, 견인 전 총액·거리·목적지를 확인하고 영수증을 받아야 합니다.

     

    글 내용 요약 이미지

     

     

    4️⃣ 보험사 견인 서비스 활용하기 ☎️

     
    자동차보험에 가입했다면 견인 특약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사고 접수 후 “견인 필요”를 요청하면 보험사 지정 견인차가 도착해 합리적인 비용으로 처리됩니다.
    사설 견인차보다 안전하고, 분쟁 소지도 훨씬 적습니다.
     
     

    5️⃣ 고속도로 무료 견인 서비스 🛣️

     
    고속도로에서 사고가 났다면 한국도로공사(1588-2504)에 연락하거나
    전용 앱을 이용해 무료 견인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인근 톨게이트·휴게소·졸음쉼터까지는 비용 없이 이동이 가능하며, 이후 보험 견인을 연계하면 효율적입니다.
     

    교통사고를 정리하는 경찰의 모습

     

    6️⃣ 견인 전후 체크리스트 🔧

     

    • 차량 내부 귀중품·서류는 미리 꺼내기
    • 차량 외관·계기판·사고 현장 사진 남기기
    • 견인 목적지·총요금·추가비용 확인 후 영수증 수령
    • 구난동의서 사본 또는 사진 확보

    이런 준비가 훗날 분쟁을 예방하는 강력한 증거가 됩니다.
     
     
     

     
     

    7️⃣ 긴급 상황 예외 ⚠️

     
    만약 도로 한복판에서 2차 사고 위험이 크다면,
    사람의 안전을 우선 확보한 뒤 경찰·도로공사·보험사 순으로 도움을 요청하세요.
     
     

    ✅ 핵심 정리

     
    부르지 않은 견인차가 왔다면
     
    👉 거절 → 법적 근거 제시 → 요금 상한 확인 → 보험·공공 서비스 우선 → 기록 및 증빙 확보.

    이 다섯 가지만 지키면 불필요한 요금 부담 없이 안전하게 사고 상황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 결국 가장 중요한 건 “단호하게 거절하고, 공식 절차만 따르기”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