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태평염전 홈페이지 이미지
    태평염전 홈페이지 이미지

     

     

    미국의 태평염전 수입금지 조치📛

    강제노동이 만든 소금, 그 대가와 교훈 5가지

     

     

    1. 미국의 태평염전 소금 금지 이유

     

    안타깝게도 이유는 ‘강제노동’ 때문이에요.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은
    태평염전에서 만든 소금에 대해
    수입 금지 조치를 내렸어요.

     

    한국 최대 염전인 태평염전이
    이 조치의 대상이 된 거죠.

     

    이건 단순한 경제 조치가 아니랍니다.
    국제 인권 기준을 어긴 제품은
    미국에서 팔 수 없다는 뜻
    이에요.

     

    이 무슨 창피한 일이란 말입니까.

     

     

    2. 끝나지 않은 '염전노예' 사건

     

     

     

     

    혹시 2014년에 있었던
    '신안 염전노예' 사건 기억나시나요?

     

    그 일 이후에도
    비슷한 사건들이 2021년까지 계속되었대요😢


    피해자들은 이동이 제한되고,
    신분증을 빼앗기거나,
    폭행과 협박까지 당했다고 해요.

    게다가 임금도 제대로 받지 못했답니다.

     

    아 정말 부끄럽습니다.

     

    태평염전 이미지

     

     

    3. 왜 이런 일이 반복됐을까요?

    이 사건을 밝힌 김종철 변호사님은
    세 가지 이유를 말했어요.

     

    1️⃣ 솜방망이 처벌

     

    2014년에 36건 기소됐지만
    실형 받은 사람은 단 한 명뿐이래요.
    그마저도 집행유예였죠…

     

    2️⃣ 피해자 보호 부족

     

    도움을 받았던 분들이
    다시 염전으로 돌아가는 일이 있었어요.

     

    3️⃣ 기업 책임 없음

     

    중간 관리자(염사장)만 문제 삼고,
    정작 이익을 얻은 기업들은 책임지지 않았어요.

     

    태평염전 이미지

    4. 염전 구조에 숨겨진 문제들

     

    이건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에요.
    구조적으로 생긴 문제거든요.

     

    소금 회사는 염전을 조각내서
    염사장들에게 임대해요.
    염사장은 다시 염부(노동자)를 고용하죠.

     

    이런 구조는
    책임을 꼭대기에서 밑으로 밀어내기 딱 좋은 방식이에요.


    기업은 모른 척,
    중간 책임자만 처벌받는 구조인 거죠.

     

     

    5. 이번 사태의  교훈

    이번 미국의 조치는
    단순히 소금 수입을 막은 게 아니에요.

     

    "이제는 기업도, 정부도
    공급망 속 인권을 책임져야 한다!"
    는 메시지를 준 거랍니다.

     

    강제노동은 더 이상
    ‘안타까운 일’로만 넘길 수 없어요.


    국제 사회는 행동하고 있어요.
    우리도 이제 바뀌어야 할 때예요.

     

     

    앞으로 필요한 변화는?


    정부는 이 사건을 반성의 기회로 삼아야 해요.

     

    ✔ 피해자 보호 제도 만들기


    ✔ 가해자 강력히 처벌하기


    ✔ 기업도 인권 침해 책임지게 만들기

     

    특히, 소금처럼 공급망이 긴 산업에서는
    기업의 꼼꼼한 점검이 필수랍니다.

     

     

    소금 하나가 바꿀 수 있는 세상

     

    염전에서의 고된 노동이
    당연한 게 되어선 안 돼요.

     

    이번 일은 분명 아픈 일이지만,
    앞으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기회가 될 수 있어요.

     

    "이제는 사람이 먼저다"
    그런 사회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