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1세대, 2세대 실손보험 가입자들도 본인부담초과금액은 보험사로부터
보상 받지 못해요.
2025년 실손보험 & 본인부담상한제 변화
2025년부터 실손보험과 본인부담상한제에 중요한 변화가 생겼어요.
보험금 청구에 큰 영향을 주는 만큼, 미리 알아두면 좋아요!
본인부담상한제란?
본인부담상한제는 환자가 1년 동안 건강보험 급여 항목에 대해 낸 금액이
일정 한도를 넘으면, 초과 금액을 건강보험공단에서 돌려주는 제도예요.
✅ 왜 중요한가요?
✔️ 고액 진료비가 발생해도 일정 금액 이상은 부담하지 않아요.
✔️ 의료비 절감에 큰 도움이 돼요.
2025년도 본인부담상한액 변경사항
2025년부터 상한액이 이렇게 변경돼요.
소득 분위 | 2024년 | 2025년 |
최하위 1분위 | 87만 원 | 89만 원 (2만 원 ↑) |
2~3분위 | 108만 원 | 110만 원 (2만 원 ↑) |
4~5분위 | 167만 원 | 170만 원 (3만 원 ↑) |
6~7분위 | 313만 원 | 320만 원 (7만 원 ↑) |
8분위 | 428만 원 | 437만 원 (9만 원 ↑) |
9분위 | 514만 원 | 525만 원 (11만 원 ↑) |
최상위 10분위 | 808만 원 | 826만 원 (18만 원 ↑) |
✅ 요양병원 입원이 120일을 넘으면 상한액이 1,074만 원으로 조정돼요.
실손보험, 본인부담상한제 초과액 보상 불가
2025년부터는 본인부담상한제를 통해 환급받은 금액은
실손보험에서 보상받을 수 없어요.
❓ 왜 보상이 안 되나요?
실손보험은 말그대로 실제 손해에 대한 보상이에요.
그래서 '실제로 부담한 금액'만 보상해요.
본인부담상한제를 통해 돌려받은 금액은 이미 공단에서 대신 낸 금액이므로,
보험사에 청구하면 이중 청구가 돼서 불가능합니다.
실손보험 보상 예시
예시: 소득이 4~5분위인 가입자가 1년 동안 400만 원의 급여 진료비를 지출했다면?
✅ 본인이 실제로 부담한 금액: 170만 원
✅ 건보공단에서 환급받은 금액: 230만 원
✅ 실손보험에서 보상 가능한 금액: 170만 원 (환급액 제외)
과거 실손보험 가입자도 동일 적용
과거에 가입한 1세대 실손보험 가입자라도 이번 변경 사항이 똑같이 적용돼요.
🔹 대법원 판례(2023다283913)에 따르면, 실손보험 가입 당시 약관에 규정이 없어도
본인부담상한제 환급금은 보상 제외라는 판결이 나왔어요.
보험 가입자가 꼭 기억해야 할 3가지
1️⃣ 본인부담상한제 환급금은 실손보험 보상에서 제외돼요.
2️⃣ 보험금 청구 전 건강보험공단 환급 내역을 꼭 확인하세요.
3️⃣ 실손보험은 실제로 낸 금액만 청구 가능해요.
✅ 정리해볼게요
2025년부터 실손보험과 본인부담상한제에 큰 변화가 생기니 꼭 기억하세요.
이중 청구가 되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건강보험 제도를 잘 활용하면 의료비 부담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요. 😊
그런데, 이럴거면 제가 말씀드린 의료비 통장(의료비 저축계좌)을 만드는 것도
좋은 방법일거 같네요.
'금융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보험료율 9% → 13%로 인상 (3) | 2025.03.19 |
---|---|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 서비스 신청 방법 (4) | 2025.03.17 |
75년 만의 상속세 개편, '유산취득세' 방식과 내용 (0) | 2025.03.16 |
건강보험료 금융소득 기준, 건강보험료 저축 방법 (4) | 2025.03.11 |
의료비 통장 (의료 저축 계좌), 도입 될까? (4)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