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 국민연금 보험료율 9% → 13%로 인상!
2025년부터 국민연금 보험료율이 인상된다고 해요.
이와 함께 소득대체율 상향 조정, 자동조정장치 도입 검토 등
다양한 개편 사항이 발표되었는데요.
어떤 점이 달라지는지 핵심만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1. 국민연금 보험료율 9% → 13%로 인상
국민연금 보험료율이 현행 9%에서 13%로 인상돼요.
다만, 갑작스러운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단계적으로 인상될 예정이에요.
🧑🏫 보험료율 인상 배경
- 국민연금 기금 고갈 시점을 늦추기 위한 조치
- 연금제도의 장기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개편
2. 소득대체율 40% → 42%로 상향
소득대체율은 은퇴 후 연금으로 받는 금액이 은퇴 전 소득의
몇 퍼센트인지 나타내는 지표인데요.
기존 40%에서 42%로 상향돼요.
✅ 소득대체율이 올라가면 노후 소득 보장이 더 강화되는 효과가 있어요.
3. ‘자동조정장치’ 도입 검토
OECD 38개국 중 24개국이 이미 도입한 ‘자동조정장치’ 도입을 검토 중이에요.
✅ 자동조정장치란?
- 출생률, 경제 상황에 따라 연금액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제도
- 연금제도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에요.
4. 기금 수익률 5.5% 이상으로 상향
국민연금 기금의 수익률을 기존보다 1%p 이상 높여 5.5% 이상으로 올릴 계획이에요.
✅ 해외 투자 확대
✅ 전문 운용 인력 확충
✅ 해외 사무소 개설 등으로 수익률을 높일 예정이랍니다.
5. 세대별 보험료율 인상 차등 적용
보험료율 인상 시 세대 간 형평성을 고려해
연령대별 인상 속도에 차이를 두기로 했어요.
✅ 50대 → 연 1%p씩 인상
✅ 40대 → 연 0.5%p씩 인상
✅ 30대 → 연 0.33%p씩 인상
✅ 20대 → 연 0.25%p씩 인상
6. 출산·군 복무 크레딧 확대
✅ 첫째아부터 출산 크레딧 적용
✅ 군 복무 크레딧 인정 기간 확대 추진
이렇게 되면 청년 세대의 소득 공백 보완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돼요.
7. 기초연금 40만 원으로 인상
✅ 2026년: 소득이 적은 어르신 우선 40만 원 지급
✅ 2027년: 전체 기초연금 수급자에게 40만 원 지급
또한, 기초연금과 생계급여가 동시에 삭감되는 문제도 개선할 예정이에요.
'금융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년만의 국민연금법 개정안 통과, 뭐가 달라질까? (3) | 2025.03.21 |
---|---|
사망보험금, 연금으로 받는다! '사망보험금 선지급 제도' (1) | 2025.03.20 |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 서비스 신청 방법 (4) | 2025.03.17 |
2025년 실손보험과 (건강보험) 본인부담상한제 (0) | 2025.03.17 |
75년 만의 상속세 개편, '유산취득세' 방식과 내용 (0) | 2025.03.16 |